본문 바로가기

삶의행복/잡다한상식

[쉬운경제용어]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728x90
반응형
SMALL

Stagflation - Stagnation - Inflation - Slumpflation
Stagflation - Stagnation - Inflation - Slumpflation

1.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이란?

    1) 경기 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2) 즉, 경기는 침체하고 있는데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현상

    3)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보다 더 심한 것을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이라 한다

    

2.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의 원인?

    1) 유가 급등, 중앙 은행의 긴축, 일자리 감소

    2) 수입 물가 상승 → 기업 이익 감소 → 제품 가격 상승 → 소비자 수요 감소 → 경기침체 및 실업율 증가

    3) 경기 침체, 물가 상승 → 근로자들의 임금인상 요구 → 기업의 인건비 부담 증가 → 고용감소 및 생산량 감소

    4)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 임금상승 → 고용감소, 제품값 상승 →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Stagflation - Stagnation - Inflation - Slumpflation
Stagflation - Stagnation - Inflation - Slumpflation

3.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대응

    1)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되면 시중의 돈을 회수하거나 이자율을 높여 물가 안정화 추진

    2) 스태크플레이션 상황의 경우 시중에 돈을 풀게되면 실업을 줄일 수 있지만 물가가 더욱 불안해짐

    3) 그렇다고 긴축 정책을 하면 경기가 얼어 붙으며 실업이 증가함

        ☞ 따라서, 스태그플레이션 대응은 굉장히 어려움

             스태그플레이션은 고물가 저성장! 하지만 이 두가지를 모두 한꺼번에 잡는것은 매우 어려움

Stagflation - Stagnation - Inflation - Slumpflation

반응형

4.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과 부동산

     [하락한다는 의견]    

       1) 부동산은 경기 침체로 수요자가 줄어들게되어 가격 하락

       2) 은행 금리는 상승하게 되고 대출자들이 고통을 받게 되며 급매 부동산 증가

       3) 원자재가격의 상승으로 분양가는 올라도 수요가 위축되어 상승은 제한적이다

       4) 경기 침체 속 금리 상승기이므로 당분간 관망하는게 최선 

    [상승한다는 의견]  

       1) 과거 의 스태그플레이션 기간에 주가는 큰 변동을 보였으나, 부동산은 꾸준히 상승하였음

       2) 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이 이루어지면 현금자산이 아닌 실물 자산인 부동산 가치 상승

       3) 스태그플레이션이 지나가면 다시 본래 가격을 회복하거나 더욱 상승 한다

       4) 저평가된 주택 수요는 여전하며 기존 주택을 처분하는 경우는 많지 않음

       5) 위기가 곧 기회

Stagflation - Stagnation - Inflation - Slumpflation
Stagflation - Stagnation - Inflation - Slumpflation

5.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과 주식

     ▷ 투자자는 아래 기업을 유심히 꼼꼼하게 연구하고 검토하여 투자해야 함

          * 제품 가격이 올라도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

          * 제품에 대한 충성 고객이 많은 기업

          * 재무제표가 안정한 기업

          * 브랜드 가치가 높은 기업

 

고물가 시대, 화폐자산 가치 하락

물가가 오른 후에 월급은 뒤늦게 따라 오를테고

그 동안의 생활은 궁핍을 면하기 어려울 듯 하다

또한, 돈의 가치 하락으로 연금을 받아 생활하는 사람들의 형편은

전보다 더 어려울 질 것입니다.

그래도 언제나 더 나은 미래가 올 것이기에 묵묵히 열심히 생활하려 합니다 

 

 

[쉬운경제용어] 신흥시장국채권지수(EMBI+, Emerging Market Bond Index+)_국채발행 관련 금리 기준이되는

EMBI+ 신흥시장국 채권지수 신흥시장 국가 ~ 채권 투자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냄 높을수록 신흥국 투자 감소 낮을수록 신흥국 투자 증가 1) 신흥시장국 채권지수 EMBI+(Emerging Market Bond Index+)  ① 신

friend7942.tistory.com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